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전체보기 (1965)
    • 공감 소개 (516)
      • 공지사항 (488)
      • 공감구성원 소개 (7)
      • 원서동에 놀러오세요 (20)
    • 공감이 하는 일 (904)
      • 공익소송 및 법률지원 (147)
      • 법제개선 및 연구조사 (205)
      • 공익법 교육·중개 (121)
      • 월간 국제인권센터 (4)
      • 공감 인권법 캠프 (122)
      • 로스쿨 실무수습 (25)
      • 자원활동가 이야기 (274)
    • 공감의 목소리 (389)
      • 공변의 변 (113)
      • 공감통신 (77)
      • 공감뉴스 (10)
      • 공감 젠더통신 (14)
      • 공변의 일상 (116)
      • 공감이권하는책,영화 (29)
    • 기부회원 이야기 (125)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보험

  • [공감통신] 아버지의 산재 - 배경내(인권교육센터 들 상임활동가)

    2015.10.14 by 비회원

  • ‘보호’와 ‘익숙한 거부’의 쳇바퀴에서 - <장애인보험차별 개선을 위한 정책 토론회>를 다녀와서

    2012.06.08 by 비회원

[공감통신] 아버지의 산재 - 배경내(인권교육센터 들 상임활동가)

“귀신에 홀렸는가. 그날 내가 왜 그랬는지 모르겠어.” 일흔이 넘은 아버지가 일터에서 화상사고를 당하셨다. 바늘을 만드는 공장이었다. 바늘을 가지런히 정리하거나 불량품을 골라내고 완제품을 포장해서 나르는 일이 주였지만, 때로 용광로 앞에서 바늘을 굽는 일에도 투입되기도 하셨단다(이 글을 쓰는 지금도 내 머릿속엔 바늘 제조 공정이 구체적으로 그려지지 않는다. 멀리 떨어져 살고 있다 해도 아버지가 어떻게 일하고 계신지 무심했던 것에 대한 자책감이 크다). 불 앞에서 쪼그려 앉아서 하는 일은 고된데다 위험하기도 해서 너도나도 기피하는 일이었단다. 보호 장비는 일절 제공되지 않았고 사비를 들여 장갑을 사가야 했다. 더위가 좀 수그러들어 땀범벅은 덜하겠구나 싶었던 9월 초순. 그날따라 아버지는 ‘아무 생각 없이’..

공감의 목소리/공감통신 2015. 10. 14. 13:40

‘보호’와 ‘익숙한 거부’의 쳇바퀴에서 - <장애인보험차별 개선을 위한 정책 토론회>를 다녀와서

강의실로 쓰이는 큰 강당이 있었다. 몇 해 전, 장애인이 수업을 듣는데 불편이 최대한 없도록 개보수를 마쳤다. 장애인을 위한 시설이 사실상 존재하지 않았던 기존의 열악한 환경은 더이상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보였다. 그런데 어느 날 특강을 위해 방문한 한 장애인 연사가 시설을 둘러보고 대뜸 화를 냈다는 것이다. 모두들 갸우뚱했다. 장애인을 위한 승강기도 갖추고, 휠체어 등이 들어갈 수 있는 책상도 전용으로 갖추었는데 무엇이 문제였을까? 강당의 연단에는 경사로가 없었다. 그래서 다른 곳보다 더 높게 만들어진 연단에 올라가기 위해서는 무조건 ‘계단’을 올라가야 했다. 강연을 하기 위해서 연사가 거쳐야 할 필수적인 그 과정에서, 장애인을 배려하는 시설은 어떤 것도 존재하지 않았다. 사람들은 장애인을 ‘강의를 듣..

공감이 하는 일/자원활동가 이야기 2012. 6. 8. 11:50

추가 정보

인기글

  1. -
    -
    33년 만에 정신병원에서 발견된 여성 국가배상청구소송 1심 승소 _ 염형국 변호사

    2019.12.03 15:32

  2. -
    -
    [추모성명] 인천 일가족의 죽음을 추모하며

    2019.11.27 14:16

  3. -
    -
    '공정성'이라 이름 붙이고 자격을 뭍는 정서에 대하여_김혜진 (전국불안정노동철폐연대 상임활동가)

    2019.11.19 11:24

  4. -
    -
    [모집] 제 21회 공감 인권법 캠프 참가자 접수

    2019.12.11 14:04

최신글

  1. -
    -
    여성에 대해 불안정 고용 강제하는 악순환을 끊어라 - 채용차별에 맞선 대전 MBC 여성 아나운서를 지지하며

    공익소송 및 법률지원

  2. -
    -
    ‘청도 대남병원·밀알사랑의 집’ 집단 코로나19 확진에 대한 인권위 긴급구제 진정 기자회견

    공익소송 및 법률지원

  3. -
    -
    [제 21회 인권법캠프 후기] 인권변호사란 무엇인가

    공감 인권법 캠프

  4. -
    -
    장애가 아니라 차별이 문제다 _ 조미연 변호사

    공변의 변

페이징

이전
1
다음
티스토리
공익인권법재단 공감의 블로그입니다 © 2019 Gonggam, Human Rights Law Foundation. All right reserved.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