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 막히는 일상 속에 갇혀 사는 현대인은 탈출구를 찾는다. 여행 역시 탈출구 중 하나. 그곳에 가면 현실에서 벗어나 자유와 낭만을 만끽할 수 있을 거라 믿는다. 그렇게 꿈꾸는 이들에게 『희망을 여행하라』의 저자 임영신 작가와 함께한 7월 월례포럼은 조금은 불편한 자리였을지도 모른다. 임영신 작가는 묻는다. 우리가 현실로부터 탈출해 온 그곳이 누군가의 삶의 터전이라는 사실을, 당신의 웃음 너머에 있는 그들의 고통과 비참한 진실을 알고 있느냐고.
1. 당신의 웃음 너머
“포터는 짐 나르는 도구가 아니라 우리와 같은 인간입니다”
우리들의 편안한 트래킹을 위해 포터들은 하루 3-4달러의 일당을 받으며 자신의 몸무게를 넘는 짐을 지고 히말라야를 오른다. 그들의 등에는 온갖 등산 장비들은 물론 파라솔, 벤치, 텐트, 가스통, 밥솥 등 상상하지도 못할 짐들이 얹혀있다. 히말라야에 올라가서 밥을 지어먹고, 파라솔 밑에서 우아하게 티타임을 갖고 싶다는 관광객들의 환상은 포터의 등에 새로운 짐으로 얹어진다. 포터가 혼자 감당해야 하는 등짐의 무게는 노새가 질 수 있는 짐의 무게에 육박하는 50kg를 족히 넘는다. 250~300루피(약 4~5천 원)의 일당에서 밥값과 숙소비까지 해결해야 하기 때문에, 포터들은 조금이라도 많은 돈을 집에 가져가기 위해 하루에 두 끼만 먹고 식당 바닥이나 창고에서 잠을 청한다. 고어텍스 등산복으로 중무장한 관광객들과 달리 포터는 폭우가 쏟아져도 비닐을 둘러 쓸 뿐이고, 등산화가 없어서 동상에 걸려 발을 절단하기도 한다.
27살의 포터 시암 바아두르에게 고산증이 찾아왔을 때, 그를 포터로 고용한 여행자들은 그에게 비상금도 주지 않고 혼자 산을 내려가라고 했다. 의식불명 상태로 발견된 시암은 구조센터에 도착했을 때 이미 싸늘하게 식어있었다. 얼마나 많은 포터들이 네팔의 트래킹 코스에서 죽는지는 알 길이 없다. 히말라야를 등반하는 외국인의 경우 그들의 죽음은 거대하고 대단한 것으로 보도되곤 하지만, 이 죽음들은 보도되지도 알려지지도 않기 때문이다. 심지어 함께 등반하는 관광객들, 그들의 리더마저도 그가 없어졌다는 것을 모른다.
히말라야 관광객들에게 포터는 ‘관계’를 맺을 대상이 아니라 ‘소비’할 대상일 뿐이다. 일정한 비용을 지불한 이상, 그들의 삶과 인권은 관광객들에게 관심 밖의 문제가 된다. 포터들이 짐 나르는 도구가 아니라 고통을 느끼고 동상에 걸리며 고산증으로 죽을 수도 있는 우리와 같은 인간이라는 사실은, ‘관계’가 아니라 ‘소비’인 여행 속에서 이렇게 외면당한다.
“천국을 위해 삶을 내어준 몰디브 사람들”
신혼여행지 1위, 꿈의 낙원이라 불리는 몰디브의 주민들은 여행객들의 꿈같은 휴식을 위해 삶의 터전을 내어줘야만 했다. 지난 35년간 몰디브를 독재하고 있는 대통령이 외국 자본과 손잡고 100여개의 섬을 팔면서, 어업에 종사하던 현지 주민들 대부분이 관광업에 종사하게 되었다.
UN의 보고에 따르면, 몰디브 주민 43%는 1달러 미만으로 살아가고 아동의 30%는 영양실조로 고통 받고 있다고 한다. 그곳에 머무는 여행자들이 하루에 쓰는 돈은 현지 주민의 한 달 월급에 달한다고 하건만, 그토록 많은 여행자들이 방문하건만, 왜 여전히 그들은 가난한 것일까?
관광객들은 몰디브에서의 달콤한 휴식을 누리는 데 그만큼의 대가를 지불했다고 생각하지만, 그 돈의 대부분은 독재 정권과 외국자본에게 돌아가고, 독재를 공고화시키는 자금줄로 사용된다. 몰디브 주민들은 삶의 터전을 잃었지만 아무 것도 얻지 못했다. 그리고 대부분의 관광객은 이러한 사실에 대해 알지도, 알려하지도 않는다.
2. 새로운 여행을 위한 상상력
“서로를 깊이 존중하고 배우며, 그 만남과 머무는 시간이 공동체와 지역에 도움이 되는 여행을 꿈꾸다”
※ 공감 SNS 에서 공감의 다양한 이야기를 만나실 수 있습니다.
※ 공감 블로그 구독하시고, 아래의 '추천','좋아요'도 눌러주시면
더 많은 사람들에게 공감의 이야기가 전해집니다.
21세기의 전태일, 비정규직 노동자 (2009. 11) (1) | 2009.12.09 |
---|---|
저작권, 누구를 위한 권리인가 (2009. 10) (3) | 2009.11.27 |
공정여행, 여행을 소비가 아닌 관계로 바라보기 (2009. 07) (0) | 2009.11.27 |
미등록이주자에게도 삶이 있다 - 미누 강제추방 사례로 본 한국의 다문화 정책 (0) | 2009.11.03 |
성매매를 성노동으로 인정할 것인가 (17) | 2009.10.27 |
진실을 찾으려다 현실과 싸우게 되다 - 공익제보자들의 고단한 싸움에 관하여 (1) | 2009.10.22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