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감 SNS 에서 공감의 다양한 이야기를 만나실 수 있습니다.
※ 공감 블로그 구독하시고, 아래의 '추천','좋아요'도 눌러주시면
더 많은 사람들에게 공감의 이야기가 전해집니다
공정여행, 여행을 소비가 아닌 관계로 바라보기 (2009. 07) (0) | 2009.11.27 |
---|---|
미등록이주자에게도 삶이 있다 - 미누 강제추방 사례로 본 한국의 다문화 정책 (0) | 2009.11.03 |
성매매를 성노동으로 인정할 것인가 (17) | 2009.10.27 |
진실을 찾으려다 현실과 싸우게 되다 - 공익제보자들의 고단한 싸움에 관하여 (1) | 2009.10.22 |
'나영이 사건'이라 부르지 마세요! (0) | 2009.10.16 |
국민참여재판 참관 후기 (5) | 2009.10.14 |
댓글 영역
바쁘실텐데 글 써주시는 모든 인턴분들
다시한번 감사하고,
앞으로도 종종 글 부탁 드려요~~~~~^^
앞으로도 종종 <공감> 블로그에 들려주세요 ㅎ
여기 글 쓰신분도 성매매를 성노동으로 인정해야 하는 논리가 있지만 그렇다고 반대운동을 멈출 수 없다고 하시면서 합당한 반박논리가 없어서 그런 반박 논리를 듣고 싶은 저에게는 좀 아쉽습니다. 그리고, 노동에 대한 응당한 대가가 없는 노예제도와 비유를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 같고요.
어쨋거나 제가 너무 단순 무식해서 인지 제가 의문이 드는 "막노동은 괜찮은데 왜 성매매는 불법으로 규정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이해하기 쉽게 누가 설명을 좀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합법적인 동의를 역사적, 시간적 속까지 파고 들어서 진정한 동의가 맞는지 여부를 따져서 모든 것을 판단해야 한다면 현대사회가 구현하기 어려운 이상국가를 바라는 것 같기도 합니다.
자발적으로 성매매를 원하는 사람들이 있고 수요자가 있다면 우리나라도 일부 국가처럼 공창 제도를 두는 것도 가능한 방법이 아닐까 싶기도 하고요...
공감에 계시는 분들 저 너무 미워하실까 걱정됩니다. 그냥 단순하게 기본부터 생각해보자는 관점입니다.
성매매가 왜 나쁜지 속시원하게 들어보고 싶습니다.
그리고 성매매의 자발성 문제와 관련해서 한 가지 덧붙이고 싶은 것은, 요즘 제가 청소년 성매매와 관련해서 자료를 조사했었는데요. 성매매 경험이 있는 청소년들의 71%가 부모와 함께 살지 않았고, 부의 직업이 일용노무직이거나 무직인 비율이 56%, 성폭행 피해경험이 51%, 성매매 동기 1순위가 생활비 및 생계비 해결(53%)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가출한 여자 청소년들의 50% 이상이 가출한 후 성매매 제의를 받았다고 합니다. 청소년 성매매가 많은 경우 성인 성매매로 이어짐을 고려할 때 위 통계자료는 가볍게 여겨져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빈곤과 불안정한 가정 환경은 아이들이 성매매에 노출될 위험을 현저히 증가시키는 것입니다. 남자 청소년들이 막노동을 하는 것과 무엇이 다르냐고 반박하실지도 모르겠군요. 그렇다면 저는 위에 말씀드린 존엄성의 문제를 다시 말씀드려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저는 막노동 또한 비정규직이라는 불안정한 고용관계, 열악한 근로조건 등으로 문제가 많다고 생각합니다. 다시 말해서 "막노동도 괜찮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좀 두서 없이 쓴 것 같은데 답변이 되었을지 모르겠네요^^;
인간의 존엄성 훼손을 막기 위해서 또는 불가피한 동의에 의한 행위를 막기 위해서 법으로 금지해야 한다면 솔직히 금지해야할 것들 너무 많을 것 같습니다. 시급아르바이트, 막노동, 대기업 납품행위, 연예활동 등등...
현재로서 제 생각은 성매매라는 것은 비록 여러 가지 환경에서 자발적으로 원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다하더라도 소수이고 대다수의 경우 향후 당사자에게 엄청난 고통과 상처를 주는 것인 만큼 그러한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국가차원에서 이를 법으로 금지하고 있다는 정도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막노동 등의 다른 유사한 것과 비교할 때 당사자에게 생기는 상처가 매우 크고 기타 다른 문제까지 일어날 수 있는 여지도 많기 때문에 성매매를 유독 금지 하는게 아닐까 싶습니다.
정도의 차이 문제가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하지만 다른 국가에서 공창제도를 오랜 세월동안 시행하고 있는 것을 생각하면 성매매가 그렇게 안좋은 영향을 주는 것인가 하는 의문이 들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