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9기 인턴 엄수연입니다.
오늘 한양대에서 장서연 변호사님의 인권법 특강이 있었어요~^-^
장서연 변호사님 인턴으로 가서 사진을 찍어 왔는데,
외부 나가는 게 처음이라 얼마나 찍어와야 되는지 감이 없어서......^-^;;;
찍다 보니 거의 스토커 수준이 되어 버렸네요ㅋㅋㅋ
파이 서비스가 종료되어
더이상 콘텐츠를 노출 할 수 없습니다.
좀 놀랐던 건 학부 수업에 인권법 강의가 개설되어 있다는 점-
박찬운 교수님의 강의였는데요. 많이 들어본 이름이긴 한데, 솔직히 자세히는 잘 몰랐거든요.
그래서 집에 와서 검색해봤는데, 굉장하신 분이네요.
살짝 소개해볼게요
한양대 법과대학을 졸업했으며 미국 노트르담 대학에서 국제인권법으로 석사학위(LL.M)를, 고려대학교에서 국제법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84년 제26회 사법시험에 합격한 이래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민변) 및 변호사 단체의 회원으로 활발한 인권 활동을 해왔다. 민변에서 사무차장 및 연구간사, 국제연대위원장 및 난민법률지원위원장 등을 역임했으며 대한변호사협회의 인권위원회 부위원장 및 서울지방변호사회의 섭외이사를 역임했다. 2005년부터 1년 반 동안 국가인권위원회의 인권정책본부장으로 있으면서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 권고, 차별금지법 권고, 사형제 폐지 권고, 양심적 병역거부 권고 등 주요 인권정책의 실무 책임을 맡았다. 2006년 가을, 모교인 한양대학교 법과대학의 인권법 전임교수로 부임하여 현재는 연구와 강의에 매진 중이다. |
교수님이 교수실에서 손수 다도로 차를 대접해주시면서 인권법에 대한 이야기를 해주셨는데요.
국내 최초로 인권법 기본서를 내셨더라구요.
인권법이 강좌로 개설되어 있는 학교는 우리 학교밖에 없을 거라고 자부하셨는데,
생각해보니 다른 데서 본 적이 없는 것 같았어요. 저희 학교도 그렇구요~^-^;;
이렇게 대단한 분인 줄 알았다면, 열심히 대화나눠보는 건데 이제와서 조금 아쉽네요ㅎㅎㅎ
자,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강연 이야기를 해볼게요-
주제는 "소수자 보호와 변호사의 역할 - 공감의 소송사례들을 중심으로 " 였습니다^^
저는 인턴일 시작하자마자 바로 용산사건에 참여하게 되어서
정신없이 조서 읽는데 급급해서 공감에서 무슨 일을 해왔고 하고 있는지 미처 돌아보지 못했는데요.
오늘 강연을 들으면서,
아- 공감에서는 이런 일들을 해왔구나-
정말 짱이구나- 다시 한 번 느꼈습니다^^
- 인근에 여학교가 있어 민원이 발생한다는 이유로
노숙인 자활주거센터 설립신고를 거부한 중랑구청을 상대로 한 사회복지시설설립신고거부처분 취소소송
- 재개발조합을 상대로 세입자의 주거이전비를 청구한 소송
- 비닐하우스촌 주소지 찾아주기 소송
- 장애아동보험가입을 거부한 보험회사를 상대로 한 손해배상 소송
- 장애인 접근권을 침해한 청계천에 대하여 서울특별시를 상대로 한 국가배상 소송
- HIV 감염 외국인에 대한 출국명령 취소소송
- 버마 소수민족여성 난민인정불허처분 취소소송
- 중국 민주당원 난민인정불허처분 취소소송
- 가정폭력 피해 결혼이민자를 위한 가사 소송
- 출입국공무원의 위법한 출입국 단속에 대한 국가배상 소송 등
등등의 소송을 해오셨네요^^
또 하나 놓치고 있던 부분이 변호사법 1조였는데요-
기본적 인권을 옹호하고 사회정의를 실현함을 사명으로 하는 공공성을 지닌 법률전문직이라는 정의!
딱 우리 공감 변호사님들이잖아요ㅎㅎㅎㅎ
아- 휴학을 해서 그런지
오랜만에 듣는 강의라 그냥 막 재미있었어요~^-^
장변호사님의 살짝 긴장한 듯한 모습도 귀여우셨다는♡
이상 9기 인턴 엄수연, 외부활동나눔 마칩니다-
※ 공감 SNS 에서 공감의 다양한 이야기를 만나실 수 있습니다.
※ 공감 블로그 구독하시고, 아래의 '추천','좋아요'도 눌러주시면
더 많은 분들에게 공감의 이야기가 전해집니다.
용산 철거민 참사 관련 활동 소개 (0) | 2009.07.06 |
---|---|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황필규 변호사님 특강 (0) | 2009.04.23 |
한양대 인권법 특강 (0) | 2009.04.23 |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특별 강연 (0) | 2009.04.23 |
도쿄에서 만난 이주인권 변호사 및 단체들 - 이주민 인권을 위한 변호사 네트워크 사업 (0) | 2009.01.07 |
일본난민지원협회(JAR) 등 - 이주민 인권을 위한 변호사 네트워크 사업 ⑤ (0) | 2009.01.07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