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십 대 초반의 미혼 여성이 자신이 낳지도 않은 아이를 셋이나 키우다 적발되었다. 이 여성은 인터넷 포털 사이트 등에 ‘아기를 낳았는데 어떻게 할지 고민’이라는 미혼모들의 글을 보고 메일이나 쪽지로 연락해서 아이들을 데려왔다고 한다. 아이 엄마들에게는 20만 원에서 150만 원을 병원비 등의 명목으로 지급했다. 이렇게 아이 6명을 데려와 그중 셋은 자신이 직접 키웠다. 그중 둘은 자신의 친자녀로 출생신고까지 마쳤다. 나머지 아이들의 소재는 확인이 안 되고 있다. 생모에게 돌려보냈거나 지인에게 맡겼다고 주장하고 있다. 여성은 아이들이 너무 예뻐서 키우고 싶어서 그랬단다. 여성은 현재 아동복지법 위반으로 경찰에서 조사받고 있다. (관련 기사보기)
온라인상에서 버젓이 ‘아동매매’가 일어나는 나라, 중국? 아니다, 우리나라 이야기다. OECD 가입국인 한국에서 어떻게 이런 일이 버젓이 발생할 수 있을까? 위 사례에서 현재 소재가 확인되지 않은 아이들은 어떻게 되었을까?
문제는 아이가 출생하였으나 신고되지 않을 수 있는 제도 현실에서 출발한다. 현행법상 아이의 출생신고는 부모에게 일임되어 있다. 부모가 출생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 아이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출생신고 되지 않은 아이는 공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그 결과 아이는 어른들의 이해와 욕구에 일임되어 불법적인 거래의 대상으로 전락한다.
출생신고는 아동 인권을 위한 최소한의 보장 장치이다. 유엔아동권리협약은 “아동은 출생 후 즉시 등록”되어야 한다고 선포하고 있다. 국제사회에서 출생신고를 우려하는 곳은 먹고 살기 어렵고, 공적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은 나라들이다. 출생신고 문제에 있어 한국은 이러한 나라들과 어깨를 나란히 한다.
어떻게 해야 할까? 아예 의료기관에 일차적 출생신고 의무를 부여하는 해외 사례가 존재한다. 국내 연구조사 (여성가족 관련 법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Ⅱ): 출생등록의무자 및 스토킹 규제 관련 입법례와 시사점, 박선영‧송효진‧구미영‧김정혜‧유혜경,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4) 는 보완적인 출생통보제도를 제안한다. 일차적으로 부모가 출생신고 의무를 지되, 누락할 경우를 대비해 병원에 출생 사실을 관할 지방자치단체에 통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공공기관은 아이의 출생 사실을 인지하고, 부모가 출생신고를 제때 하지 않을 경우 직접 출생을 등록한다.
2016년 새로이 구성될 20대 국회에서는 아동 인권의 최소한의 보루인 출생신고 문제를 해결할 의지와 열정이 넘치는 국회의원을 단 한 사람이라도 만날 수 있기를 고대한다.
글 _ 소라미 변호사
※ 공감의 기부회원이 되어주세요!
[공변의 변] 세월호 참사, '2주기'가 아니다. 계속되고 있는 참사 3년째, 그 잔혹사를 기억하며 (14) | 2016.04.19 |
---|---|
[공변의 변] 가족을 감금하는 사람들 - 김수영 변호사 (0) | 2016.03.14 |
[공변의 변] 그녀는 어떻게 남의 아기를 데려다 키울 수 있었나? _ 소라미 변호사 (2) | 2016.01.18 |
[공변의 변] 세월호 참사를 돌아보며, 이제 시작이다 - 존엄과 안전에 관한 4.16. 인권선언_윤지영 변호사 (2) | 2015.12.16 |
[공변의 변] 국가와 지자체가 염전노예 책임져야 한다 (2) | 2015.11.16 |
[공변의 변] 객관성이 담보되는 난민심사를 위하여 - 박영아 변호사 (0) | 2015.10.15 |
댓글 영역
이밤에 ..소라미 당신이 참 야속하고 ..저주하고 싶을 정도로 .. 원망스럽습니다.
목소리 터져라 외치는 입양부모들의 목소리는 안들리나요?
정상적 사고.. 합리적 사고를 하는 사람이라면 본디 남에 말도 들어야 할 줄 알아야하거늘.. 당신은 여전히 아이들의 인권을 이야기하며.. 저 짓을 하고 있군요..
당신덕분에 입양을 통해 좋은 가정에 갈수있는 아이들이 줄고,유기되는 아이들이 늘고 있다는 생각은 안하시나요?
당신. 결혼은 하고, 애는 낳아보기나 하고 저 짓을 추진하고..신념이라고 일을 하고 있나요?
남에 가슴에 못 박으면 그거 언젠가는 꼭 당신한테 되돌아갈것입니다.
여러말하기 어려워 기사링크 합니다. 대다수의 평범한 사람들이 어찌생각하는지 한번 두 눈으로 보십시오. 리플한번 읽어보고.. 자기생각 주장 신념..잠시만 내려놓고.. 입양을 준비하는 엄마가 되어보시고.. 따뜻한가정에 가길 원하는 아이가 되어보시고.. 아기를 버릴수밖에없는 처지의 미혼모의 마음을... 그들의 환경을 헤아려보십시오.